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명문 사립대 '우린 불황 몰라' 등록률 예전 수준 선전

미국 최고 명문사학 하버드를 비롯한 최고 명문 사립대의 등록률이 지난해 수준을 기록 우려했던 신입생 공백 현상은 일어나지 않았다. 11일 뉴욕 타임스(NYT)는 "입학 허가를 받은 하버드 지망생의 76%(1560명)이 등록금을 납입했다"고 보도했다. 당초 학교측은 등록률이 5%P 떨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예일대도 70%로 지난해와 비슷했으며 프린스턴도 60%로 예년수준이었다. 하버드 관계자는 "경제 상황이 등록률을 떨어뜨리지는 않았다"며 "장학금 지원을 확대한 것이 무더기 등록 이탈을 막았다"고 분석했다. 공립, 문턱 날로 높아져 학비·경쟁률 동반 상승 공립대학도 학비와 입학 경쟁률이 동반 상승 입학하기가 점점 힘들어져 예전의 이미지와 큰 대조를 보이고 있다. 게다가 경기 침체로 주 정부의 지원금도 축소되며 학생 부담이 커지고 '저렴한 학비에 양질 교육'이란 기본 명제도 흔들리는 추세다. CNN은 11일 "상당수 공립대가 거주 학생에게도 연 1만불 이상의 수업료를 요구하며 사립대와 별 차이가 없어지고 있다"고 보도하고 있다. 그러나 입학 경쟁은 날로 치열해지고 있다. 뉴욕주립대(SUNY) 빙햄튼 캠퍼스의 경우 올해 합격률은 32%에 불과했으며 1995년 입학 승인 비율이 82%에 달했던 미네소타 트윈시티 대학도 올해 이 비율이 52%로 뚝 떨어졌다. 위스컨신 매디슨 본교에서는 연평균 소득 8만불 이상 가정의 학생에게 2012년까지 연 1000불씩 수업료를 더 내게 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CNN은 "여러 상황을 고려할 때 자녀를 대학에 진학시킬 중산층이나 저소득층 가정에서 세금 혜택이 주어지는 학자금 저축부터 주립대학별 총 학비 비교를 통한 입학 희망 대학의 선택 나아가 편입학에 이르는 다양한 방법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한편 위스컨신대의 등록률은 극심한 경기침체에도 지난해보다 불과 2%P 떨어진 41%로 나타났으며 버지니아대는 지난해보다 1%P 오른 49%의 높은 등록률을 보인 것으로 집계돼 전국적으로 주립대 강세가 두드러졌다.

2009-05-11

하버드대 장학생 오철규씨의 사모곡 "어머니를 찾아주세요"

“어머니를 원망하는 마음은 없어요. 다만 어머니를 만나면 이렇게 잘 자랐으니 걱정하시지 말라는 말을 꼭 하고 싶어요.” 생후 5개월 만에 미국의 가정에 입양돼 지금은 하버드대학에서 전액장학금을 받으며 석·박사과정을 밟는 한인 입양인이 10일 친어머니를 애타게 찾고 있다. 25년 전인 1984년 김해시에 위치한 한 조산소에서 출생한 오철규(미국명 데이비드 김) 씨는 생모를 찾으려고 올해에만 벌써 세 번째 한국에 방문했다. 그는 지난달 김해를 들렀으나 조산소는 이미 없어지고 터만 남아있어 발걸음을 돌려야 했다. 그의 친어머니는 오 씨를 낳고서 ‘이 아이를 맡아주세요. 찾지 않겠습니다’라는 내용의 쪽지를 남겼다. 쪽지는 그가 지닌 생모의 유일한 기록이다. 당시 35세로 추정되는 그의 어머니는 혼자 조산소에 찾아와 진통 9시간 만에 출산하고는 곧바로 사라졌다고 한다. 오 씨는 동방사회복지회를 통해 5개월간 위탁보호를 받다가 1985년 재미동포 가정에 입양됐다. 그는 고등학교를 조기에 마치고 2006년 뉴욕의 컬럼비아대를 수석으로 졸업했다. 같은 해 9월부터는 전액장학금을 받으며 하버드대학교에서 영문학 석·박사 과정을 이수하고 있다. 그가 생모를 찾도록 격려한 사람은 양아버지였다. 한국 출신의 양아버지는 아들이 한국인의 정체성을 가지고 살아가도록 입양인 모임에 참가해 다른 입양인과 만나게 했다. 또 아들에게 한국어와 한국문화를 가르쳤다. 오 씨는 미국에서 한국어 강의와 개인교습을 받았으며, 서울대학교 한국어 연수에 참가하기도 했다. “영문학과 한국문화를 접목해 연구하고 싶다”는 그는 이달 중순 미국으로 돌아가 당분간 학업에 열중할 계획이다. ▷문의: 02-332-3941~5, 02-3142-5821.

2009-05-11

하버드 학부모협 결성…초대 회장에 성호영씨, 선후배 만남 지원키로

하버드대학(원) 재학생과 졸업생, 진학 희망 자녀로 둔 한인 학부모들의 이유있는 치맛바람이 분다. 학부모 20여명은 최근 ‘학부모 하버드대학(원) 한인 학생 학부모협회’를 발족하고 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학부모들은 하버드 진학생-재학생-졸업생을 하나로 묶어 자녀들의 알찬 대학생활을 지원하기 위해 모였다. 특히 최근 숨진 채 발견된 한인 하버드 여대생 사건이 촉매제가 됐다. 초대 회장을 맡은 성호영(사진)씨는 “숨진 학생이 고민을 털어놓을 수 있는 친구나 선배만 있었어도 방지할 수 있었던 사건”이라면서 “부모들이 멀리 떨어져 있는 자녀들의 네트워크를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우선 처음 집에서 떨어져 낯선 환경에 처한 신입생 자녀의 적응을 최대한 도울 계획이다. 성 회장은 “신입생의 경우 전공 결정이나 기숙사 생활 등이 막막할 수 있다”면서 “선배들이 축적한 경험과 노하우를 소개받을 수 있는 선후배 모임을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버드에 대한 궁금증을 A-Z부터 풀어주는 웹사이트 개설도 계획하고 있다. 하버드를 목표로 하는 고교생과 학부모들에게도 도움을 주겠다는 것. 성 회장은 “하버드대 입시 설명회를 열어 하버드 입학 사정관과 졸업생들의 생생한 조언을 듣는 자리로 마련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그는 ‘하버드’라는 타이틀이 주는 위화감 조성과는 거리가 먼 모임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그는 “협회는 내 아이만 챙기는 데서 벗어나 우리 아이를 키우는데 주력하는 성숙한 모습을 보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협회는 오는 24일 오후 5시 뉴욕한인봉사센터(KCS)에서 올해 하버드에 진학하는 신입생 환영식을 개최한다. 이날 신입생과 재학생, 학부모 150여명이 모여 인사를 나누고 앞으로 활동 방향을 논의한다. 회비는 무료. 917-513-9374. 조진화 기자 [email protected]

2009-05-08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